
안녕하세요.
당신이 꿈꾸는 미소를 그리다
연세꿈꾸는치과교정과 송파잠실점
대표원장 배성원 입니다.
“위에는 괜찮은데 아랫니만 삐뚤거려요.
꼭 전체 교정을 해야 하나요?”
“웃을 때 아래 치아만
너무 보이는데 이건 교정 못 하나요?”
실제로 아랫니의
배열이 고르지 않은 경우,
위쪽 치아보다
신경 쓰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말하거나 웃을 때
아래 치아가 먼저 드러나는 분들은
더더욱 그렇죠.
전체 교정을 하기엔 망설여지고,
그렇다고 그냥 두자니
계속 신경이 쓰이는 상황.
그럴 때 필요한 치료가
바로 ‘하악 부분교정’입니다.
오늘은 이런 고민을 갖고 계신 분들께
하악 부분교정이 어떤 경우에 가능한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그리고 진행 시 알아두셔야 할 점까지
꼼꼼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아랫니만 삐뚤어진 이유,
그냥 모양의 문제일까요?
아랫니 배열이 흐트러지는 건
단순히 치아의 배치 때문만은 아닙니다.
✔ 무의식적인 혀의 습관,
✔ 오래된 교합 불균형,
✔ 또는 나이가 들면서 생긴 치열 변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특히 아래쪽은
턱관절과의 연결이 민감해,
치아 배열 이상이 기능적인 문제로
이어지기도 쉽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물을 씹을 때
한쪽으로만 힘이 몰리는 경우,
치아뿐 아니라 잇몸,
턱관절에도 부담이 생깁니다.
또한 치아가 겹쳐 나 있다면
칫솔질이 어려워지고,
충치나 잇몸 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죠.
겉으로 보기에는 괜찮아 보여도
내부적으로는 치아와 잇몸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꼼꼼한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악 부분교정이란?
하악 부분교정은 말 그대로
아랫니만 정렬하는 교정입니다.
전체 교정보다 교정 범위가 작기 때문에
치료 기간이나 복잡도, 관리 측면에서
부담이 적은 편입니다.
주로 아랫니 6개 정도의
배열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불필요한 공간이나
겹쳐 난 치아를 고르게 배치하고
필요할 경우 교합 조정까지 함께 진행됩니다.
다만 상악(윗니)의 상태와
교합 구조를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엔 아랫니만 문제로 보여도,
실제로는 전체적인 기능과 균형을 함께 평가한 뒤
교정 범위를 결정하게 됩니다.

하악 부분교정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부분교정이지만 치료 방향은 역시
매우 정밀하게 계획됩니다.
아래턱 치아 배열뿐 아니라
턱관절 기능, 잇몸 상태,
교합 위치, 생활 습관까지 함께 고려해
진단과 상담을 충분히 진행한 후
치료가 결정됩니다.
치아에 브라켓 장치 또는
미니튜브 (MTA)를 부착해
서서히 치아를 이동시키며,
교정 중에는 정기적인 내원을 통해
치아 움직임을 관찰하고 조절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간단한 치간 삭제
(치아 사이 공간 확보)를 병행할 수도 있고,
배열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된 뒤에는
유지 장치를 착용해 교정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하악 부분교정,
이런 분들께 검토해 보면 좋습니다
✅ 아랫니가 겹치거나
울퉁불퉁해 보이는 경우
✅ 아랫니 쪽에만 공간이 남아 있어
배열이 틀어진 경우
✅ 웃을 때 아래 치아가 많이 드러나고
배열이 신경 쓰이는 경우
✅ 전체 교정보다는
부분적으로 교정하고 싶은 경우
위의 항목에 해당된다고 해서
무조건 부분교정이 필요한 건 아닙니다.
누구에게나 똑같은 치료가
적용되는 건 아니기 때문에
꼭 직접 검진을 통해
현재 구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교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원에서는 정밀한 스캔과 상담을 통해
환자분의 생활 패턴, 구강 구조,
치아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개인에게 잘 맞는 교정 방향을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치료 여부부터 교정 범위까지,
편안한 마음으로 상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

교정 장치 후 주의할 점
🚫 초기 통증
장치 부착 후 치아가 이동하면서
약간의 압박감이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2~3일 정도면 익숙해지지만,
그전까지는 무리한 씹기보다는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 음식 주의
끈적이거나 질긴 음식은
장치가 떨어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캐러멜, 쫀득한 떡류,
질긴 고기 등은 가급적 피해주세요.
🚫 구강 위생 관리
장치 주변은 음식물이 잘 끼기 때문에
평소보다 치실과 칫솔질을
더 꼼꼼히 해주셔야 합니다.
교정 중에 충치가 생기면
치료 일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장치 손상 시 내원
브라켓이나 철사가
떨어졌거나 불편하다면
그대로 두지 마시고
바로 연락 주시는 게 좋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치아 이동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교정은 단기적인 시술이 아니라,
치아와 구강 건강을
보다 오래 유지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그만큼 진단부터 마무리까지
꼼꼼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고,
부분교정이라 하더라도
기능과 심미 모두를 고려해
계획되어야 합니다.
아랫니 배열이 신경 쓰이시거나
웃을 때 유독 아래 치아가 도드라져 보인다면,
무턱대고 교정을 시작하기보다
한 번 검진을 통해 교합과 턱의 균형까지
함께 확인해 보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진료실에서 편하게 이야기 나누고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방향을
함께 찾아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답글 남기기